생 활 정 보

온누리상품권 종류, 구매, 사용 방법, 사용처, 소득공제 등 총 정리 (무려 10% 할인이나)

히쏭 2024. 2. 9. 10:37

 

 

 

 

 

얼마전에 친구와 함께 다녀왔던 망원시장

생각보다 먹을 거리가 많고 정말 사람들이 많아서 놀랐었어요!

 

특히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그 중, 망원시장에서 모바일 온누리상풤권 결제가 되는 곳이 많았는데요

호기심에 찾아본 온누리 상품권  구매방법, 사용방법, 구매처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온누리 상품권이 무엇인가요?



https://www.sbiz.or.kr/sijangtong/nation/cms/readAction.do?menu_id=070100

 

 

온누리상품권이란, 전통시장에서만 사용 가능한 상품권으로

전통시장의 수요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발행된 상품권이에요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지류상품권, 모바일 상품권 형태는 다양하게 있으며

 지류상품권은 60% 이상 사용시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지류상품권은 5천원, 1만원, 3만원권 세 종류로 구매할 시에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종류

 

 

 

온누리 상품궈 종류는 총 3가지가 있습니다

지류형 상품권, 모바일 상품권,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이렇게 3가지 입니다

 

 

 

  • 지류형 상품권

 

 

지류형 상품권은 5000원, 10000원, 30000원 3가지 종류가 있으며

60% 이상 구매시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류형 할인율이 5% 이며

모바일 상품권,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은 할인율이 10% 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할인율이 큰 모바일이나 카드형 모바일상품권을 추천합니다

 

 

https://www.sbiz.or.kr/sijangtong/nation/cms/readfind.do?menu_type_a=A&menu_cms=&menu_id=070300

 

 

온누리 지류상품권은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 신협, 농협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ibk기업은행, 수협은행, 하나은행에서 판매중입니다

 

 

 

 

지류형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찾기는는 해당 홈페이지에서 직접 검색이 가능합니다

 

https://www.sbiz.or.kr/sijangtong/nation/onnuri/onnuriBuyList.do?menu_type_a=A&menu_cms=&menu_id=070900

 

 

 

 

  • 모바일 상품권

 

 

 

 

말그대로 모바일로 상품권을 구매하는 형태입니다

온누리페이 앱 (APP), 비플페이 앱(APP)에서 온누리 모바일상품권 구입 및

 가맹점의 QR을 촬영한 후 금액을 입력·전송하는 방법으로 판매하는 것

 

할인율은 10%이며 현재, 2024년 경제활성화를 위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소득공제율을 80% 상향중입니다

사용방법은 온누리페이 앱 또는 비플페이 앱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아마 가장 편리한 방법이 아닐까 싶은데요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앱에서 등록하여 충천한 후 실물카드결제 방식으로 사용하는 온누리 상품권

 

특히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를 연결 후에 그 카드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온누리상품권결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등록가능한 카드사는 신한은행, 삼성카드, 하나카드, 비씨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농협카드, 롯데카드

 

+ 비씨 이용가능한 카드사 : 기업, 농협, 우리, BC바로, 대구, 경남, 부산,

                                            새마을금고, 케이뱅크, 수협, 제주, 신협, 광주, 우체국

+ KB 이용가능 카드 2곳 : 국민 전북

 

 

 

사용방법은 온누리 앱 다운로드 후 본인인증 및 회원가입을 한 후에,

기존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앱에 등록하여 사용하면 된다고 하네요 

 

충전 역시 앱에서 계좌등록 후에 충전하면 끝,

그리고 사용가능한 가맹점에서 동일하게 사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 찾기


온누리 

 

 

 

가맹점은 지류 상품권, 카드형 상품권 가맹점은 직접 찾아서 사용해야하는데요

가맹점은 모바일 앱으로도 검색이 가능하며,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직접 검색이 가능합니다

 

https://www.sbiz.or.kr/sijangtong/nation/onnuri/onnuriMktList.do?menu_type_a=A&menu_cms=&menu_id=070400

 

가맹점포찾기

홈 > 온누리상품권 > 가맹점포찾기

www.sbiz.or.kr

 

 

 

 

 


 

온누리 상품권 소득공제율

 

전통시장에서 결제한 금액에 대해서는 40% 소득공제 혜택이 가능한데요
온누리상품권의 경우 지류형은 결제 시 가맹점에 현금영수증 발행 요청이 필요하고
모바일과 충전식 카드형은 자동으로 반영된다고 합니다.

 

 

또한 2024년 온누리상품권 할인구매한도도 확대되면서,

더욱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올 다가오는 설 연휴, 이왕 온누리상품권으로 저렴하게 구매하자구요!

 

종류 현재 소득공제 방법  
지류형 온누리 상품권 구매한도 150만원
할인률 5%
해당 가맹점에서 현금영수증 요청 소득공제 한도 40%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구매한도 200만원
할인율 10%
결제 시 자동 소득공제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구매한도 200만원
할인율 10%
결제 시 자동 소득공제

 

 

2024년에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할인 구매한도는 200만원으로 

모바일 10% 할인된 할인율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단, 지류형 온누리상품권은 5%로 할인율이 다른 편입니다

 

즉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1만원짜리를  9천원에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다는 뜻,

또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 사용금액의 소득공제율을 무려 80%나 해준다고 합니다 (2024년 6월말까지)

 

참고하셔서 저렴하게 온누리 상품권 사용해볼가요